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전국을 선도하는 치매 통합 관리 정책으로 치매 환자와 가족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치매안심도시 관악`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
관악구, 치매 전방위 정책으로 `치매안심도시` 선도한다
구는 `치매안심마을` 사업을 통해 치매 환자와 가족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주민들의 치매 예방 인식과 치매 조기 발견 및 관리를 돕고 있다. 현재까지 17개 동이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관내 21개 전 동을 치매안심마을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구는 어르신들이 치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관리를 받기 위해서 주민들이 내 집 앞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사업들을 중점 추진 중이다.
먼저, 올해 9월 5일까지 관내 21개 동으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기억력 검사`는 매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주민 누구나 편리하게 접근 가능한 동 주민센터에서 전문적인 치매 검진을 받을 수 있어 치매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관리를 지원한다.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 가능해 어르신들의 치매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예방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치매안심경로당`으로 지정된 관내 115개 전체 경로당에서도 매년 치매인지선별검사를 실시하며, 신청 경로당에는 주 4회 `찾아가는 치매 예방교육과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구는 2023년도에 전국 최초로 치매 예방 야외 놀이형 인지프로그램인 `치매안심노리터(老利攄)`를 도입해 어르신들의 치매 예방과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 성과로 보건복지부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도 관악구가 전국 1위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자치구 치매안심센터 운영의 모범 사례로 인정받았다.
`관악구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정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자조모임 `더봄`은 문예활동을 통해 심리 안정에 도움을 주고, `늘봄`은 뜨개질을 통해 활동성과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한다. 이외에도 운동, 음악, 미술, 숲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해 치매 환자와 가족의 정서적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구는 어르신들이 여가·건강·요양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한 곳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개관한 `관악어르신행복센터·50플러스센터`는 중장년층과 어르신들의 사회활동 활성화를 지원하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특히, 구는 2027년 준공 예정인 `구립 노인종합복지타운`에는 치매 전담실, 물리치료실 등을 갖춘 요양원이 3층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어서, 가족들이 치매 어르신들을 쉽게 돌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예정이다.
박준희 구청장은 "지역주민, 치매 환자와 그 가족 누구나 안심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치매안심도시를 조성에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