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한금융그룹, 1분기 당기순이익 1조4883억원…전년比 12.6%↑
  • 김해인 기자
  • 등록 2025-04-25 19:20:35

기사수정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사회 결의로 ROE 제고와 주주환원 강화
  • 녹색금융 8215억원, 포용·상생금융 1.5조원 지원으로 사회적 책임 확대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5일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한 1조4883억원을 시현했다고 발표했다.

 

신한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은 전년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한 가운데 지난해 1분기에 발생한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효과의 소멸 및 안정적 비용 관리 등에 힘입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날 이사회를 통해 `ROE 제고`, `목표 CET1비율 상향`,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을 골자로 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을 위한 2025년 세부 추진 계획`을 결의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신한지주 이사회는 일관된 자본정책의 일환으로 2025년 1분기 주당 배당금을 570원으로 결정했다. 또한 지난 1월부터 시작된 총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도 지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신한금융그룹은 안정적인 자본비율과 탄탄한 재무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하고 예측 가능한 자본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부문별 경영실적을 살펴보면, 1분기 이자이익은 2조85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그룹 NIM(순이자마진)이 9bp 하락했으나 연중 누적된 자산 성장 영향으로 이자이익은 증가했다. 다만, 전분기 대비로는 1.9% 감소했다. 이는 그룹 NIM이 5bp 상승했음에도 증권 및 캐피탈의 이자이익 감소 영향 때문이다.

 

비이자이익은 9393억원으로 카드수수료, 증권수탁수수료 등 수수료이익 및 보험관련 이익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 그러나 시장금리 인하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이익 회복 및 전분기 인식했던 유가증권 관련 평가손실 소멸 등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275.3%라는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판매관리비는 1조41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7.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4분기 희망퇴직 비용 및 광고선전비, 용역비 등 계절적 비용 소멸 영향으로 20.7% 감소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4361억원으로 전반적인 경기 부진에 따른 연체율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으나, 대손비용률은 41bp로 전년 연간 대손비용률 49bp 대비 안정세를 보였다. 영업외이익은 613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발생한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2740억원) 등 일회성 비용 효과 소멸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391억원 증가했다.

 

그룹 글로벌 손익은 21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소폭 감소했으나, 조기자산 성장을 통한 영업수익 확대 및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해 분기 중 2000억원 이상의 견고한 수익을 시현했다. 자본 건전성 측면에서는 3월 말 기준 CET1비율이 13.27%, 잠정 그룹 BIS자기자본비율은 15.97%로 자본 효율성 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준의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그룹사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12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각각 21.5%, 90.3% 증가했다. 신한카드는 13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598.9% 증가했다. 신한투자증권은 10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5% 증가했으며, 신한라이프는 16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각각 7.1%, 169.5% 증가했다. 신한캐피탈은 3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3%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흑자 전환했다.

 

한편, 신한금융그룹은 기업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2025년 1분기 녹색금융 8215억원, 포용·상생금융 1.5조원을 지원했다. 아울러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측정 시스템 고도화 및 대내외적 활동을 강화하는 등 ESG 경영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신한금융그룹은 이러한 활동에 대한 화폐가치가 2025년 1분기 총 7013억원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또한 18일에는 신한지주의 자회사인 제주은행이 임시 이사회를 통해 국내 ERP 1위 기업인 더존비즈온을 대상으로 한 제3자 배정방식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이를 통해 `Digital 제주` 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한금융그룹의 이번 실적은 어려운 금융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주주가치 제고와 사회적 책임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하고 안정적인 자본비율을 유지하면서도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실시한 점이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서초구
국민신문고
HOT ISSUE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SPC 리나스, 브런치 특화 매장 `용산 아이파크몰점` 개점 프랑스식 정통 샌드위치 전문점 리나스(LINA`S)가 `용산 아이파크몰점`을 개점했다.`용산 아이파크몰점`은 브런치 메뉴를 특화한 매장으로 서울 용산구 아이파크몰 더센터 4층에 163㎡, 85석 규모로 자리 잡았다.리나스를 상징하는 초록색에 우드와 크림 톤을 더한 `테라스 가든` 콘셉트로 인테리어를 꾸몄다.도심 속 작은 정원에 들어온 듯한 아...
  2. 건강한 노후 생활 지원…양천구, 취약계층 어르신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양천구(구청장 이기재)는 취약계층 어르신의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해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무료로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대상포진은 바이러스가 신경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피부 발진과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65세 이상 고령층은 젊은 연령층보다 발병률이 8∼10배 높..
  3. 건강수명 연장…서울 강서구, `어르신 장수누리터` 운영 서울시 강서구(구청장 진교훈)는 어르신 맞춤형 건강증진 서비스인 `어르신 장수누리터`를 올해 12월까지 운영한다.`장수누리터`는 어르신들이 의료 전문가와 건강상담을 받고, 유용한 건강 정보를 얻으며 이웃과 교류하는 소통의 장이다. 구는 방화보건지소(금낭화로 162)에서 이 사업을 추진한다.올해 7월 기준 강서구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
  4. 관악구, 늦여름밤 다시 한번 선물같은 신원시장 축제 선사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무더운 여름밤 주민들의 더위를 식혀줄, 관악구 대표 여름행사 `신원시장 달빛축제` 2차 행사를 개최한다.올해 10주년을 맞은 신원시장 달빛축제는 지역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즐길 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하며, 전통시장 활성화의 중요한 발판이 돼왔다.특히, 올해는 `모두가 함께 즐기는 진짜 공동체 축제`를 .
  5. LG U+, 국내 최대 ICT 시상식에서 2년 연속 `금상` 수상 LG유플러스가 국내 최대 ICT 시상식인 `ICT 어워드 코리아 2025(ICT AWARD KOREA 2025)`에서 IT기기 & 통신 분야 금상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이다.올해로 22회를 맞은 ICT 어워드 코리아는 웹·앱·디지털 플랫폼 등 ICT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최대 시상식이다.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각 분야의 전문.
  6. 유정복 인천시장, 신설구 출범 대비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18억 원 확보"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2026년 7월 1일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과 관련해 신설구의 원활한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통신 기반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신설구 출범 시에는 중단 없는 대민행정서비스 제공과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전산실, 통신실,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통합관제센터 ...
  7. "도시 이야기, 사람 이야기"…GH, 경기도 공공기관 유튜브 새 역사를 썼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 채널 `굿홈TV`가 구독자 10만 명을 돌파하며 유튜브로부터 실버버튼(Silver Play Button)을 수상했다.29일 기준 구독자 수는 11만 6천 명을 기록, 이는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가운데 최초·최대의 성과다.이번 성과는 단순히 `구독자 10만`을 넘어, 공공기관 유튜브도 도민에게 사랑받는 채널로 자리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